영동

검색
닫기

외국인 노동자 부부의 '초극소 저체중 신생아' 의료 지원한 강릉아산병원

0

- +

핵심요약

고위험 합병증 극복한 초극소 저체중아…건강히 부모 품에 안겨
치료비 전액 지원… 경제적으로 열악한 외국인 가족에 희망 전해
유창식 병원장 "단순 치료기관을 넘어 사회적 책임 실현하는 병원"

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과병원장과 환아의 가족이 고(故) 정주영 아산사회복지재단 설립자의 사진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강릉아산병원제공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과병원장과 환아의 가족이 고(故) 정주영 아산사회복지재단 설립자의 사진 앞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강릉아산병원제공"낯선 타국에서 힘들게 살고 있는 저희에게 이렇게 따뜻한 관심과 배려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해진 우리 아이는 물론 한 가정의 마음까지 함께 치료해 주신 그 따뜻함을 오래도록 간직하겠습니다"
 

세상의 시작점에서 생명을 걱정해야 했던 환아의 부모가 강릉아산병원 의료진에게 전한 감사의 말이다.

강릉아산병원은 최근 베트남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초극소 저체중 신생아'를 건강히 퇴원시킴과 동시에 치료비를 전액을 지원했다고 24일 밝혔다.
 
환아(쩐푹안, 남)는 지난 2월 15일, 임신 24주 만에 585g으로 태어났다. 통상적으로 출생 시 체중이 2500g 미만이면 저체중 신생아, 1500g 미만은 극소 저체중 신생아, 1000g 미만은 초극소 저체중 신생아로 분류한다. 이번 환아는 그 중에서도 가장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상태였다.
 
강릉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 도현정 센터장은 "이 아이의 경우 출생 당시 자가 호흡이 거의 없어 인공호흡기에 의존했고 동맥관개존증, 패혈증, 기관지폐이형성증 등 여러 합병증과 미숙아 망막병증으로 실명 위기까지 더해졌다"며 "고위험 신생아 치료 체계가 잘 갖춰진 병원이라 하더라도 생존율은 30%대에 불과했다"고 말했다.
 
02. 환아(쩐푹안, 남)가 인큐베이터 안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 강릉아산병원 제공02. 환아(쩐푹안, 남)가 인큐베이터 안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모습. 강릉아산병원 제공특히 패혈증의 미숙아에게 발생할 경우 사망률이 약 34%에 이르는 위험한 질환으로 초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다.

강릉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은 생명을 살리겠다는 일념으로 24시간 집중 치료를 이어갔고, 환아는 위기를 하나씩 넘기며 건강하게 자랐다.

하지만 환아의 가족에게는 또 다른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에서 일용직으로 생계를 이어가던 부모에게 건강보험 적용만으로는 장기간 이어진 치료비를 감당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아이가 건강을 되찾았다는 안도감도 잠시, 퇴원 시 마주한 경제적 부담은 또 다른 무게로 다가왔다.
 
이에 강릉아산병원은 아이가 치료를 마치고도 부담 없이 퇴원할 수 있도록 아산사회복지재단이 운영하는 의료복지사업 'SOS 의료비 지원'을 통해 치료비 전액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건강해진 환아와 부모가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 강릉아산병원 제공건강해진 환아와 부모가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 강릉아산병원 제공'우리 사회의 가장 어려운 이웃을 돕는다'는 재단의 설립 이념으로 운영되는 사업은 경제적 이유로 치료를 받기 어려운 환자에게 진료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국적, 연령, 사회적 지위와 무관하게 생명 앞에서는 모두가 동등하다는 따뜻한 가치를 담고 있다.
 
강릉아산병원은 지난 1996년 개원 이래 현재까지 의료복지사업을 통해 13 만5143명에게 약 113억 원의 진료비를 지원해 왔다. 이 같은 지원은 단순한 금전적 후원을 넘어, 치료를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희망'을 함께 건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다.
 
유창식 강릉아산병원장은 "의료는 국경과 언어, 경제적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이들이 공평하게 누려야 하는 권리"라며 "지역사회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의료기관으로 단순한 치료기관을 넘어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는 병원으로 더욱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릉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은 강원·영동권에서 유일하게 고위험 신생아를 전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곳으로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에 선정되기도 했다.
 
특히 매년 20명 내외의 초극소 저체중아를 치료하고 있으며, 전문 의료진과 최첨단 장비를 갖추고 신생아 생명을 살리는 최전선에서 활약하고 있다.
 

추천기사

스페셜 이슈

많이 본 뉴스